목록전체 글 (483)
음악, 삶, 개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hR8It/btqNXeb3d6H/k4iYMyQeQHLixo83Be04WK/img.png)
명령프롬프트에서 CLI 를 설치후, vue create 프로젝트명 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구조에 파일과 폴더들이 생성된다. 우리가 만든 vue 앱을 실행하기위해서는 3개의 파일이 필요하다. index.html App.vue main.js 각 파일들안에 어떠한 코드가 적혀있는지 살펴보자. index.html 위의 HTML 코드에서 우리가 주목해야할부분은 이다. 위의 div 가 모든 것의 출발점인 root 테그다. 우리는 이제 id 가 app 인 div 안에, Vue.js 의 API 를 사용하여, 요소를 추가,삭제, 수정하게된다. 우리가 직접적으로 이 index.html 파일을 수정할 일은 전혀 없다. (이것이 Vue.js 를 배우는 이유...) 추후 보겠지만 모든 수..
공식문서 : https://v3.vuejs.org/guide/introduction.html Vue 3 Tutorial - Full Course 10 Hours 10 apps 1. Node.js 를 설치한다. 2. 명령프롬프트창에서 npm install -g @vue/cli 를 통해 CLI 를 설치한다. 3. 명령프롬프트창에서, Vue 프로젝트를 생성할 부모 폴더로 이동후, vue create 프로젝트명 을 입력하여 Vue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4. 이렇게 생성된 Vue project 폴더를 VSCode 로 연다. 5. VSCode 에서 터미널을 열고, npm run serve 를 입력한..
난 React 대신 Vue 를 선택했다. React 를 공부하겠다고 선언한지, 하루도 안되어 나의 마음은 바뀌있다. 사실 Vue 는 애초에 생각도 안했었고, 당연히 React 를 하려고했었다. 이유는...유명하고..사람들이 많이 쓰는거같아서.. 이렇게 결심을 한뒤 React 를 하루정도 공부했다. 하지만 먼가...의구심이 드는 부분들이 많았고.. Vue 는 과연 어떨까? 하는 마음에 하루를 다시 투자해보았다. 수박 겉핥기도 아닌, 둘다 완전 간만 본것인데, 짧은 결론은 Vue 였다. Vue 를 선택한 이유는, 일단 느낌적으로 확실히 React 보다는 쉽다는 인상을 받았고 (물론 깊이 들어가면 세상에 쉬운것은 없지만..) 무엇보다 .vue 라는 하나의 파일안에, html, javascript, css 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t3nPm/btqNOKnXmPE/zwM3yrcMkWJ6sSldMFpqi0/img.png)
React JS 를 공부를 하게되었다. (React Native 아님) Max For Live 의 UI 를 웹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보고싶었기때문이다. 내가 이런 생각을 할수있었던 이유는 Max 8 이후부터 Node.js 를 지원하기때문이다. 한마디로 HTML, CSS, JavaScript 를 사용하여 UI 를 만들어보겠다는 이야기다. 사실 모든 M4L 개발자들은 Max 에서 제공하는 UI 를 가지고만 만든다. 이게 제일 쉽고 또, Ableton Live 와의 연동성도 가장 뛰어나기때문이다. 하지만 그만큼 나만의 멋진 디자인 또는 유니크한 기능을 만들어낼수는 없는 큰 한계점을 가지고있다. 버튼이나 슬라이더를 이야기하는게 아니다. 근사한 피아노롤을 만들수있을까? Ma..
다른 Arpeggiator 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을 만들어줄 핵심 기능이 "다중 Rate" 의 지원이다. 보통 Arpeggiator 의 Rate 는 1/16 또는 1/32 를 흑백논리로 선택해야하는데, 이 대신.. 1/16 or 1/32 1/4 or 1/8 or 1/16 or 1/32 1/4t or 1/8t 등등의 메뉴로 선택하게끔 해주는것이다. 1/16 에서 1/1 로 점진적으로 Rate 가 Glide 되는 Option 도 유용할듯하다. 물론 사용자가 각각을 지정하게끔하는 option 도 고려해보아야겠지만... 인터페이스가 복잡해질가능성이 크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가 들었을때 "좋은 리듬"은 어느정도 비슷하다고 볼수있기때문에, 애초에 내가 그런것들을 찾아내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쪽으로.. 이때 내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MolV/btqMGe61qQM/gcWruXJS8ZaKjDfJoTUiKK/img.png)
일반적인 Arpeggiator 는 하나의 패턴으로 쭈욱 흘러간다. 내가 패턴을 Up 으로 설정하였다면, Up - Up - Up - Up, Down 으로 설정하면 Down - Down - Down - Down 이다. 하지만 만약 Up - Random - Up - Down 으로 하고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일반적인 방법은 Automation 을 하는것이다. 여기서 각 Style 마다 다른 Rate 를 갖고자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Up 에서는 1/4 Random 에서는 1/8 그 다음 Up 에서는 1/32 그 다음 Down 에서는 1/128.. 이또한 Automation 을 하면 된다. 하지만 나는 이런 Automation 방식보다 훨씬 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진 Max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OXus/btqMGd6Y1OI/2lovLeWZjtKd0t96QOdg9k/img.png)
Max 7.2 Pressure (Polyphonic-Aftertouch) Slide Pitch 나는 MPE 가 지원되는 컨트롤러를 가지고있지않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Y0HB/btqMxp6vqe4/IGjQWUvNyGpHovPVbJLleK/img.png)
mtr 은 내가 너무너무도 기다려온 Max 8.1.6 에서 새로 추가된 object 이다. mtr 은 multi-track-recorder 의 약자로 Max 에서 timeline 을 구현할수있는 event sequencer 이다. 사실 새로 추가된것은 아니고, 기존에 있었던 object 인데 거의 새로 쓰여진 object 이라고 보는게 맞다. event 를 원하는 지점에 추가 또는 녹음할수있고 추후 이 event 들을 playback 할수있다. 공식문서에는 아래와 같이 적혀있다. "Records messages and provides sequenced playback." message 를 녹음하라고되어있지만, 녹음뿐만 아니라 sequencer 처럼 event 를 추가할수있다. 사실 m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XIVN9/btqMr5BHpIt/fsTX0C0fQ09PTfXwSUlxw1/img.png)
16 노트를 계속해서 플레이하는 간단한 패치를 만들었다. 주안점은 Live 의 transport 를 나타내는 [plugsync~] 와 [mtr] 에 저장된 event 가 어떻게 현재 Live 의 현재 position 에 맞혀 적절히 플레이되는가이다. ----------begin_max5_patcher---------- 2238.3oc6ZssiiaiD8Y6uBFirXSB7ngWJdaABvrOrXeY2ufjAMjs4zsxXKIH I2o6MXx29VjT1suHaKGKm7xzMPegrLopCqKmpn9swilLq3EW8Dx+f7SjQi9s wiFEFxOvn1+ezjUouLeYZcPrIyKVsxk2LYZbtF2KMgwe+6I+2zO6HKxl2PVW tHswkrQn70qxxW5ZBq.qcv..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IMR1h/btqMmpsyKAL/mnAV0qnK2AImZZkDmkLDY0/img.png)
Quick Paper Cutout Effect - Adobe Illustrator Tutorial 위와 같이 종이가 잘려, 아래로 겹쳐진 그림을 어떻게 일러스트레이터에서 만드는지 배워본다. 1. Blend 툴의 Specified Steps 를 활용하여 두 객체를 Blend 한다. 2. Blend 를 Expand 하여 Path 로 변환한다. 3. 전체 선택후 Path Finder 의 Divide 를 실행한다. (이때 서로가 서로를 자르게 된다.) 4. 전체 선택후, Drop Shadow 를 먹인다. 5. Layers 패널에서, 모든 객체를 선택후 Reverse Order 를 실행한다. 6. Edit - Recolor Artwork 를 실행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