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보기 (483)
음악, 삶, 개발
1. 오른쪽으로 드래그 또는 클릭 : 확대 2. 완쪽으로 드래그 또는 alt + 클릭 : 축소 드래그를 상,하로 하는것은 아무 역할도 하지않는다. 스크롤휠을 사용하여 확대 축소 할수도있다. 1. 단축키 z 를 누른채 스크롤휠을 위로 : 확대 2. 단축키 z 를 누른채 스크롤휠을 아래로 : 축소
Rectangle 툴을 선택후 배경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Width 를 입력하라고 나온다. 반면 Polygon 툴로 클릭하면 Radius 를 입력하라고 나온다. Width 는 넓이 Radius 는 반지름이다.
보통 도형을 그릴때 마우스를 드래그하지만, 정확한 사이즈를 직접 입력해서 그리고자할때는 도형툴을 선택후, 클릭을 하면 아래와 같이 사이즈를 입력하는 창이 뜨는것을 볼수있다. 저기에 사이즈를 입력하면 입력한 크기의 도형이 그려진다. Polygon 툴을 선택후 클릭하면, 면의 갯수를 입력할수도있다. Start 툴도 마찬가지.
1. 객체 수평 이동 (그라디언트 툴에도 적용됨) 2. 객체 크기 비율 유지 조정 3. 객체 다수 선택
Adobe 의 Illustrator 를 보면 아래와 같은 Gradient 패널을 볼수있다. Gradient 는 Linear 와 Radial 라는 2개의 종류로 나뉜다. Linear : 시작점에서 끝점으로. Radial : 중심에서 바깥으로, 우리가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에서 Gradient 를 만들듯이, Juce 에서 이를 코드로써 표현하면 된다. 하지만, 이런 Gradient 디자인을 코드로 하기전에, 일러스트레이터로 먼저 작업해봄으로써 디자인을 확정하는것이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추천하는 방식이다. 코드는 계속해서 컴파일을 해야 결과를 볼수있기때문에, 컴파일을 해가며 디자인을 해나가는것은 굉장히 시간 낭비이기때문이다. 결국 훌륭한 GUI 디자인을 위해서, 더나아가 VST 개발을 위해 Illust..
https://www.youtube.com/watch?v=WTAMfjPCOqc&ab_channel=mimisim https://www.youtube.com/watch?v=gPvILTTzFcQ&ab_channel=DesignArtStudio
class Plugin : public juce::AudioProcessor {} class PluginWindow : public juce::AudioProcessorEditor {} class MidiEffect {}
Juce 는 굉장히 거대한 프레임워크이기때문에, 바로 디테일로 들어가면 이해가 하나도 안된다. 따라서 가장 기본이 되는 VST3 의 골격 구조를 코드로 정리해놓고, 머리속에 넣어두자. Juce 에서 VST3 을 만들때 가장 필수 클래스는 juce::AudioProcessor 와 juce::AudioProcessorEditor 이다. 이 둘을 상속받아 클래스를 만들고, 그후 하위 클래스들을 객체로 배치해나가면서 플러그인을 만드는것이다. 나는 미디 플러그인을 기준으로, 필요한 클래스는 다음과 같다. 1. Main.cpp : createPluginFilter() 를 실행하며, Juce 에서는 main() 함수 역할을 한다. 2. 파생클래스 from juce::AudioProcessor (추상클래스) : Val..
기본 Juce 의 GUI 를 사용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내가 직접 그린다. = Component 클래스를 상속받아 paint() 를 override 한다. 2. Juce 가 주는 GUI 를 사용한다 = Component 클래스를 상속받은 클래스에 private member 로 GUI 객체를 추가한다. 3. 내가 만든 Component 클래스를 다른 Component 클래스의 멤버로 사용한다. (부모 자식 관계) - 일종의 포토샵 레이어 내가 직접 그린다. = Component 클래스를 상속받아 paint() 를 override 한다. 1. Component 클래스를 상속받은 클래스를 생성한다. 2. paint() 를 override 하여, 이 안에 그린다. 3. resized() 라는 콜백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