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83)
음악, 삶, 개발
or 연산자 (||) 는 초기에 true 를 발견하면 뒤에 조건들이 true 인지 false 인지 확인하지않고, 바로 다음 코드로 넘어간다. 때에 따라 true 나 false 를 확인하는 함수를 이 위치에 호출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는 가장 뒤에 두는것이 best practice 이다. 어짜피 앞전에서 true 가 확인되면 or 이기때문에 뒤에 조건들을 굳이 확인할 필요가없는데, 앞에서 무거운 연산이 들어가버리면, 안해도 되는 연산을 하게되는것일수있기때문이다. 이 논리는 당연히 && (and) 를 확인할때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heavy 한 operation 일수록 뒤로 보내는것이 좋다. && 역시 초기 조건이 false 이면 뒤..
JS 에서 string 을 사용할때, 내용물이 같으면 두 변수는 동일하다. const id_1 = 'id' const id_2 = 'id' console.log(id_1 === id_2) // true 이를 원치않는 경우 Symbol 을 사용하면 서로 다른 instance 로 구분하게된다. const sym_1 = Symbol('id') const sym_2 = Symbol('id') console.log(sym_1 === sym_2) // false
undefined 는 아무것도 할당되어있지않은 변수를 의미한다. let a; console.log(a) // undefined
false 가 될수있는것들 이외에는 모두다 true 가 될수있다. 아래의 것들을 외우자. const a = 0 // false const b = null // false const c = undefined // false const d = NaN // false const e = '' // false
JS 에서 이것저것 계산을 하다보면 나누기를 당연히 자주 하게되는데, 이때 0 으로 나눌 경우 Infinity , -Infinity, NaN 등이 출력된다. 따라서 내가 나눌려는 녀석이 0 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게 중요하다. const a = 1 / 0 const b = -1 / 0 const c = 'not a number' / 2 console.log(a) // Infinity console.log(b) // -Infinity console.log(c) // NaN
먼저 XCode 를 사용하지않고 VSCode 를 사용하려는 이유는, XCode 의 autocomplete 이 미치도록 느리거나 아예 안된다. 반면 VSCode 를 사용하면 매우 빠른 autocomplete 을 보여준다. Projucer 로 생성된 프로젝트 폴더를 VSCode 로 통채로 연뒤에 .vscode 라는 폴더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안에 c_cpp_properties.json 이라는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파일안에 아래 코드를 붙여넣기한다. // c_cpp_properties.json { "configurations": [ { "name": "Mac", "includePath": [ "${workspaceFolder}/**", "~/JUCE/modules" ], "defines": [], "m..
re-rendering 을 원한다면 함수를 써도 되지만, static 한 style 일 경우 return 값으로 넘겨야한다. 위 경우 해당 컴포넌트에 무슨일이 일어날때마다, v-text 가 변한다. 이것을 방지하려면, 위와 같이 생성후 return 해주어야한다. 이는 v-text 뿐아니라 :style 에도 적용된다. 의도적으로 무슨일이 생길때마다 랜더링을 원하다면 함수를 바로 사용하는것이고, 아닐 경우 return 한다.
const f = { a : () => 'hello', b : () => 'world', c : () => f.a() + ' ' + f.b(), } const greeting = f.c() console.log(greeting) // hello worl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nZB2/btqTLxwVETN/2vPDOdYkUBGjs2FHyUQGI0/img.gif)
먼저 이걸 기억하자. v-for 를 사용하는 요소는 독립된 컴포넌트, 즉 .vue 파일이어야한다. Vue 를 사용하면 Virtual DOM 을 사용하므로, 업데이트된 요소만 다시 랜더링된다고 배우지만, div나 기본 tag를 v-for 하게되면 전체가 랜더링되게 된다. add {{e}} 보이는것처럼, 요소를 추가하는데 모든 요소가 다시 랜더링되고있다. 따라서 v-for 를 할 요소는, 반드시 독립된 vue 파일로 만들어 분리해야한다.